1. 파편
시간은 2051년 3월 17일, 서울. 오전 8시 42분, 강남 테헤란로 교차로. 출근길로 붐비던 인파 사이에서 갑자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한 남자가 갑자기 멈춰 섰다. 정장을 말끔히 차려입고 가죽 서류가방을 든 40대 중반쯤의 회사원이었고, 눈에 띄는 외모는 아니었지만, 그의 행동은 단번에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다.
그는 먼저 자신의 손을 들여다보았다. 아무 일도 없는 듯 보였지만, 그 손이 미세하게 떨리고 있었다. 그리고 5초 후. 남자의 입에서 비명도 아닌, 괴상한 숨소리가 튀어나왔다. “후흐… 크흐…” 마치 폐 속에 남은 시간을 억지로 토해내려는 듯한, 기괴하고 거칠고 낡은 호흡.
그의 눈동자는 급격히 혼탁해졌고, 입술은 푸르게 변해갔다. 그리고 불과 몇 초 만에, 그의 얼굴에 주름이 생기기 시작했다. 주름은 점점 깊어졌고, 눈 밑 피부는 말린 종이처럼 말라붙으며 검게 변색되었다. 그 짧은 시간 동안, 그에게는 최소 40년의 노화가 일어났다.

주변의 사람들이 비명을 질렀다. “누가 구급차 좀 불러요!” “이건 뭐야, 뭐가 일어난 거야!” 하지만 그 누구도 가까이 다가가지 못했다. 그의 몸 전체에서 미세한 입자들이 떠오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투명한 듯, 반짝이는 듯한 시간의 파편들. 마치 그를 구성하던 기억의 조각들이 공기 중으로 증발해 나가는 것 같았다.
그리고 30초 뒤, 그는 그대로 쓰러졌다. 심장이 멈춘 것은 그보다도 빠른 시점이었다. 법의학 결과에 따르면, 그는 ‘급성 노쇠 증후군’으로 사망했다. 그의 세포 노화 지수는 87세 남성과 비슷했고, 골밀도와 장기 기능은 심각하게 퇴행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의 신분증은 분명히 그가 43세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두 아이의 아버지였고, 대기업에서 전략기획팀 과장이었다. 고혈압도, 당뇨도, 치명적 질환도 없었다. 그리고 불과 몇 분 전까지 그는 지하철을 타고 웃으며 통화를 하고 있었다.
문제는 이것이 처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같은 해 1월, 성북구에서 30대 여성이 택시 안에서 80대 노인의 모습으로 발견되어 병원 이송 중 사망했다.
2월, 구로구의 한 카페에서 남성이 커피를 마시다 갑자기 노화되고 사망. 이상하게도, CCTV에는 ‘노화’라는 개념이 빠르게 재생되는 듯한 영상만이 남아 있었고, 과학적 분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으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은 당초 ‘희귀 유전병의 일종’으로 분류될 뻔했다. 하지만 NTIP(국립시간물리학연구소)는 그 영상과 사건 보고서를 입수한 뒤, 조용히 그들만의 특별 조사팀을 꾸렸다. 그들은 이 사건을 이렇게 명명했다. “T.C.E Alpha’( Time Consuming Entity), 의미는 “누군가, 혹은 무언가가 시간을 먹고 있다.” 였다.
그 날 이후, 도시의 공기에는 설명할 수 없는 긴장감이 깃들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느꼈다. 자신의 시간이… 어디론가 새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2. 속삭이는 여자
그날 밤, 윤현진은 NTIP 본부의 제1차 사건 브리핑을 마치고 혼자 사무실에 남아 있었다. 밤 10시 37분. 회의실 유리창 너머로 서울의 불빛이 잔잔하게 출렁이고 있었다. 그는 아직도 테헤란로 사망자의 눈빛을 잊을 수 없었다. 단지 ‘두려움’이 아니라, 자기 존재가 지워지는 것을 인식한 자의 눈이었다.
노트북 화면에는 피해자 세 명의 안면 노화 시뮬레이션 결과가 띄워져 있었다. 그들의 얼굴이 시간의 강을 거슬러 흐르듯 빠르게 늙어가는 그 영상은, 의학적이기보다는 철학적이었다.
한 생애가 단 몇 초 안에 증발하는 것. 그건 마치
“시청자 없는 인생의 마지막 에필로그 같군” 현진은 혼잣말을 중얼거리며 눈을 감았다. 그리고 그 순간, 마치 청각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듯, 주변의 소리가 뚝 끊겼다.
시계 초침이 멈췄다. 에어컨 소리, 바깥 차량 소리, 심지어 자신의 심장 박동 소리마져 사라졌다. 공기는 여전히 흐르는데, ‘시간’만이 정지된 느낌이었다. 그때,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너도 느꼈구나… 시간의 방향이 틀렸다는 걸.”
여자였다.
그 목소리는 낮지도 높지도 않았지만, 정체를 알 수 없는 주파수를 타고 뇌로 직접 흘러 들어왔다. 언어가 아니라 존재 자체로 전달되는 생각. 언어의 껍질을 벗고 본질로 닿는 방식이었다.
현진은 무의식중에 고개를 돌렸다. 책상 맞은편, 그림자 속에 한 여자가 앉아 있었다. 짙은 청색 외투를 입고 있었으며, 긴 머리는 바람 한 점 없는 실내에서도 희미하게 흔들리고 있었다. 그녀는 빛을 흡수하는 것처럼 어두웠지만, 눈동자만은 밝은 청회색으로 빛났다. 가까이 있었지만, 거리감을 가늠할 수 없었다. 그녀가 말할 때마다, 방 안의 전자기장이 미세하게 흔들렸다.
“나는 시간을 잃은 자들의 파편 속에서 태어났어.” “사람들은 나를 ‘속삭이는 여자’라고 부르지만, 그건 불완전한 이름이지.” “나는 단지… 흐름을 되돌리는 존재일 뿐이야.”
현진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몸은 움직일 수 있었지만, 입술은 무거운 철처럼 굳어 있었다. 이것은 공포가 아니었다.
경외(敬畏)에 가까웠다. 그녀는 손을 들어 책상 위에 조용히 무언가를 내려놓았다. 투명한 유리관 안에 든, 회색 결정체였다.
“이건… 뭐죠?” 그녀는 미소 지으며 말했다. “사람이 죽을 때, 시간은 터진다.” “그 조각은 바로 그들의 마지막 0.7초.”
“시간이 가장 진실한 감정을 담고 있는 구간이지.” “너희 과학은 그것을 아직 ‘측정’이 아니라 ‘믿음’이라 부르지만… 나는 그것을 먹을 수 있어.”
그녀가 손을 들어 유리관을 스치자, 결정체는 사르르 증발하며 공기 중에 녹아들었다. 그 순간, 현진은 자신의 머릿속에서 누군가의 생애를 몽타주처럼 느끼기 시작했다. 어린 시절의 강가, 첫사랑, 입사 첫날, 아이의 울음소리, 아버지의 죽음, 그리고 갑작스러운 공허. “이건… 그 사람의 삶이었나요?”
그녀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 조각들을 나는 수집하고, 복원하고, 때론… 섭취하지.” “왜냐하면 인간이 흘려보낸 ‘시간’은, 사실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안에 쌓여 가는 것이거든.”그녀는 책상 위에 한 장의 명함을 남겼다.
명함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시엘 (CIEL)
시간 파편 복원자 / 비인간 존재 등록번호 #T.E-404
연락처: 없음. 당신이 준비되면 내가 알아서 찾아감.
그리고 그녀는 그냥 사라졌다. 문이 열린 것도 아니고, 그림자 속으로 스며든 것도 아니었다. 그녀는 공간의 한 겹을 넘기듯, 종이를 넘기듯 휘날리며 꺼져갔다.
시간이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초침이 다시 움직이고, 에어컨이 돌아오고, 멀리서 차 경적이 울렸다. 현진은 멍하니 그 자리에 앉아 있었다. 그러나 책상 위 유리관은 사라졌고, 명함만이 그의 손에 들려 있었다.
그는 직감했다. 이건 단지 첫 장의 일부일 뿐이며, ‘속삭이는 여자’는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존재라는 걸.
3. 시간 섭식자 (T.C.E)
윤현진은 일주일째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있었다. 시엘과의 만남 이후, 그의 사고는 마치 고장 난 시계처럼 멈췄다가 덜컥거리며 돌고, 다시 멈추기를 반복했다. 그녀가 남긴 명함 속 ‘T.E-404’라는 숫자가 이상하게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404… Not Found.’ 인터넷 오류 메시지로만 알고 있던 그 수치가, 마치 존재하지 않는 존재의 등록번호처럼 느껴졌다.
그는 몰래 NTIP 내부 자료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공식적으로는 금지된 비인가 검색이었지만, 그는 ‘그쪽 세계’와 마주한 이후, 정상적인 윤리와 호기심 사이의 균형을 잃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고대된 서버 내부에서 한 문서를 찾아냈다. 폴더명은 단순했다.
T.C.E / CLASSIFICATION CODE – RHO
접근 권한: BLACK SIGMA
작성일: 미상
문서를 열자, 화면에는 하나의 문장이 먼저 나타났다. “시간은 선형적이지 않다. 그것은 먹을 수 있으며, 기억과 감정과 생명을 포함한 전체 파편으로 존재한다.” – 익명 보고서 중
그 다음으로 펼쳐진 문서는, 마치 극비 생물학 보고서를 읽는 듯한 구성을 띠고 있었다.
Time Consuming Entity (T.C.E)
분류: 비인간적, 비생물학적 지성체
활동 특성: 비가역적 시간 섭식 / 감정 기반 분열 / 기억 파편 감별
현재 관측 개체 수: 최소 4체 / 최대 17체 (확인 불가)
주 활동 범위: 인간 밀집 시간군 (High Emotional Density Time Clusters)
시간을 ‘섭식’한다는 개념은 처음엔 이해되지 않았다. 하지만 뒤따른 보고서 내용은 훨씬 더 섬뜩했다.
“이들은 인간의 ‘고농도 시간 파편’을 감지하고, 해당 순간의 시간 밀도를 흡수한다. 섭식은 물리적 접촉이 아닌, 파동 공명 또는 정서적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감정적으로 강렬한 죽음(공포, 후회, 분노) 직전의 0.7초 구간은 고밀도 시간결정으로 변형된다.”
현진은 순간적으로 시엘이 꺼낸 그 회색 결정체를 떠올렸다. 그건 단순한 시각화된 데이터가 아니었다. 사람의 감정과 기억이 압축된 시간의 조각, 즉 “섭식 대상”이었던 것이다.
대상은 일반적 사망을 겪은 뒤, 존재 흔적이 시간적으로 삭제됨, 사망 시점 이전까지의 사진, 영상, 메모리 기록 등은 일정 확률로 변형 혹은 삭제, 특정 대상은 기억 속에서도 빠져나감 (소급적 존재 삭제)
현진은 손을 부르르 떨며 문서를 내려다보았다. 이건 단순히 괴현상이 아니었다. 시간을 도둑맞는 문명적 사건이었다.
파일의 마지막에는, 단 하나의 이미지가 첨부되어 있었다.
초저온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듯한 영상 속엔, 흐릿한 인간 형상의 실루엣이 있었다. 그 주위에 검은 소용돌이 같은 파장이 퍼져나가고 있었고, 중심에는 푸른 고리 형태의 결정체가 회전하고 있었다.
T.C.E-404 : ‘CIEL’
그 순간, 사무실의 조명이 깜빡이며 꺼졌다. 모니터가 꺼지고, 시계 초침이 다시 멈췄다. 현진은 익숙한 정적 속에서 그녀를 느꼈다. 속삭이는 여자., 그리고 이번엔, 그녀의 목소리가 아니라, 또 다른 ‘존재’의 기척이 느껴졌다.
차가운 남성의 목소리. 어디선가 낮게 울렸다.
“시간은 너희 것이 아니었다.” “단지 너희가 빌려 쓰고 있었을 뿐이지.” “그 빚을 이제 갚을 시간이야.” 그 순간, 창밖 빌딩의 시계탑이 역방향으로 초침을 돌리기 시작했다.
4. 그녀의 이름은 시엘(Ciel)
윤현진이 처음으로 그녀를 본 순간, 공기의 흐름이 무겁게 굳어졌다. 세상은 마치 질량을 더한 듯, 분자의 진동마저도 느리게 움직였다. 물론 물리적으로 그런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의 뇌는, 특히 위기 상황에서 시간 인식을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 신경과학자들은 이를 ‘시간 팽창 효과(Temporal Dilation Effect)’라 부른다. 그날, 그의 뇌는 분명히 그 효과를 경험했다.
그녀는 병원 옥상의 난간에 서 있었다. 마치 중력 따위는 무시해도 된다는 듯한 균형감각으로, 무풍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자세였다. 하늘은 파랗지도, 회색도 아닌, 묘하게 주파수가 비튼 TV 화면처럼 깜빡이고 있었다.
공기의 밀도마저 변화하는 것 같았다. 윤현진은 그 장면을 본능적으로 스마트글래스로 촬영했고, 나중에 AI 분석 결과 ‘국지적 시간 밀도 이상 현상’이 그 장소에서 기록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녀는 뒤돌아보지 않고 말했다.
“시엘. 하늘이란 뜻이야. 하지만 난 하늘이 아니야. 시간을 먹는 여자야.”
그 한 문장은 명백히 불안정한 시공간 파동을 일으켰다. 그 순간 병원 건물의 무선신호는 약간의 지연을 보였고, 옥상 위에 놓인 금속 손잡이 표면의 온도는 비정상적으로 상승했다.
현진은 알고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만남이 아니었다. 이건 접촉이었다. 물리적이 아닌 존재론적 인터페이스. 그녀는 이미 인간이 아니었다.
“당신은 내가 이름을 알려준 첫 번째 인간이야.”
그 말은 마치 계약처럼 들렸다. 이름은 단순한 호칭이 아니었다. 그것은 호출이자 좌표, 정보화된 주파수다. 윤현진은 T.C.E. 연구소에서 이름에 포함된 파형 구조가 특정 뇌파와 공명하며 시간 회로를 자극한다는 실험을 수십 번이나 반복한 적이 있었다. 이름이란 건… 시간을 여는 암호일 수도 있다.
그녀는 그의 곁을 지나며 낮게 속삭였다.
“내 이름을 기억하는 순간, 당신은 내 궤도에 진입한 거야.”
그녀가 걸어간 자리에 남겨진 것은 푸른빛이 감도는 리본 하나. 거기엔 작은 실리콘 칩이 박혀 있었고, 표면에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새겨져 있었다:
T.C.E-71-CIEL-Δt: 0.00007s
Δt… 시간 간격. 0.00007초.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극한의 순간. 현진은 곧 깨닫게 된다. 그녀는 시간을 먹는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었다. 그녀는 실제로 인간의 시간선(line)을 간섭하고, 필요에 따라 삭제하거나 재구성하는 존재였다.
그녀의 이름을 듣는 순간부터, 그의 시간은 그녀의 소유가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시작이었다.
5. 먹히는 사람들
윤현진이 처음으로 시간 섭식자(T.C.E: Time Consuming Entity)의 피해자들을 접한 것은 도시 외곽의 한 임시 격리 병동에서였다. 병동의 벽은 회색이었다. 아니, 그보다도 무채색에 가까운 ‘색을 잃은 회색’이었다. 빛이 흡수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그 공간은, 마치 현실과 시간 사이의 막이 얇아진 틈 같았다.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생존자였지만, 동시에 시간을 잃은 자들이었다.
그들은 육체적으로는 살아 있었지만, 정신은 명백히 다른 시간선에 묶여 있었다. 의사들은 이를 Chrono-lag Syndrome(시간 지체 증후군)이라 불렀다. 겉으로 보기엔 일종의 치매나 해리장애처럼 보였지만, 정밀 뇌파 분석 결과는 달랐다. 그들의 해마(hippocampus)에서 시간 지각을 담당하는 뉴런들이 비가역적 파괴 상태에 있었다. 이건 질병이 아니었다. 섭식(Eating)이었다.
시간이 먹힌 자들은 모두 공통된 3단계 증상을 보였다.
기억 누수(Memory Leakage) 증상
처음엔 단순한 단기 기억 상실로 보였다. 방금 들은 말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반복적으로 같은 질문을 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들은 자신이 뭘 잊었는지를 인식하지 못했다. 이는 해마뿐 아니라 전두엽 내 ‘자기-시간 좌표계(Self-Time Map)’의 손상을 암시했다.
시간 좌표 붕괴(Temporal Dislocation) 증상
다음 단계에선 더 극단적인 증상이 나타났다. 과거와 현재, 미래의 구분이 무너졌다. 환자들은 10년 전 사건을 ‘조금 전 일어난 일’처럼 설명했고,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이미 겪은 일’처럼 이야기했다. 과거-현재-미래가 하나의 동시다발적 파편으로 존재하는 듯한 인식을 가졌다.
정지된 눈동자 증후군(Chronostasis Oculi)
가장 기이한 증상은 눈에서 나타났다. 환자들의 동공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았고, 순간적으로 0.3초간 시계추처럼 정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마치 뇌가 영상을 렌더링하지 못하는 버그처럼 보였다. 시각적 시간 인식이 완전히 먹힌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공포스러운 것은, 그들이 더 이상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한 생존자는 자신의 가족이 사라진 것을 이야기하면서도, 아무런 감정 없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건… 오래전 일이었어요. 아마 내일쯤 다시 일어날 거예요.”
이들의 정서 반응은 완전히 ‘납작해져’ 있었다. 마치 감정의 시간도 함께 섭식된 듯.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질이 ‘감정이 시간 위를 흘러가며 쌓이는 것’이라면, 이들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 인간이었다.
윤현진은 연구소로 돌아와 T.C.E.의 영향을 받은 환자들의 EEG, fMRI, 정밀유전자지도 등을 분석했다. 그리고 충격적인 결론에 도달한다.
이들은 단순히 정신병을 앓는 게 아니었다. 그들의 뇌는 물리적으로 시간에서 분리된 구조로 재배선되어 있었다. 그건 마치 인간의 뇌가 시공간 상수(Gμν + Λgμν = 8πGTμν)로부터 탈출한 듯한 상태였다.
그리고 중요한 공통점이 하나 더 있었다.
그들은 모두, 시엘(Ciel)이라는 여자를 마지막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다만, 그 이름조차도 점차 기억에서 지워지고 있었다. 그건 기억의 문제라기보다는, 시간 자체가 그 기억을 삭제해버리는 현상 같았다.
윤현진은 문득 깨달았다.
그들이 먹힌 건 단지 몇 분, 몇 시간, 몇 해의 ‘시간’이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의 역사, 감정, 정체성, 존재의 의미를 먹힌 것이었다.
“시엘은 단순한 T.C.E가 아니야… 그녀는 인간 서사의 킬러야.”
그녀는 인간의 이야기를, 그 시간선을 통째로 씹어 삼키는 존재였다. 그리고, 이제 윤현진의 차례가 다가오고 있었다.
6. 윤현진의 제안
윤현진은 며칠째 잠을 자지 못했다. 아니, 정확히는 잠을 거부했다. 그는 알았다. 자고 있는 동안도 그녀는 먹는다.
시엘(Ciel)은 인간의 기억과 시간의 흐름을 무방비 상태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포식한다. 뇌의 ‘콘솔’을 끄는 수면 상태야말로 그녀가 침투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시공간이다. 그는 눈을 감는 대신 뇌파를 억제하고, 카페인을 정맥으로 투여하며 고통스럽게 깨어 있었다.
하지만 버틸 수는 없었다. 그는 결국 결단을 내린다. 단순한 피해자나 관찰자로 머무를 수 없었다. 그는 제안했다. ‘시간을 붙잡는 장치’를 만들자고. 그의 제안은 단순했다. “우리는 시간에 저항해야 합니다.”
그는 국제연합 산하 과학윤리감시기구(ICES)의 회의장에서, 불가능에 가까운 이론을 발표했다.
“시엘은 생물학적 존재가 아닙니다. 그녀는 시간 그 자체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 비트(Information Bit)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 일종의 ‘시간 앵커(Time Anchor)’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 장치는 인간의 시간 흐름을 고정 시키는 시간-지각 간섭기(Temporal Perception Interference Unit, TPIU)로, 특정한 기억과 감정의 파형을 인위적으로 양자 고정하여 시간 섭식을 저지하는 장치다.
TPIU는 인간 두뇌에서 가장 뚜렷한 시간 지각 신호로 알려진 γ파(30~100Hz)를 기준으로 작동한다. 윤현진은 이를 기반으로 세 가지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첫째는 심상 고정(Imago Lock)이다. 뇌가 강렬하게 반응하는 특정 기억 이미지를 양자화하여 타임 태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첫사랑의 목소리, 부모의 냄새, 전쟁터의 피 냄새 등등…
다음은 감정 진폭(Emotion Amplitude)이다. 기억의 감정적 무게를 수치화하여 시간 앵커의 ‘질량’을 결정한다. 강한 감정일수록 앵커의 인력이 강해진다.
마지막으로 지각 공명(Perceptual Resonance)이다. 앵커와 뇌파의 공명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시간선을 고정시키는 원리다. 이는 뇌와 시간 사이의 양자 얽힘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 장치는 시엘이 섭식하지 못하는 유일한 기억 덩어리, 즉 ‘포식 불가능한 시간의 덩어리’를 만드는 장치입니다.”
과학계는 충격에 빠졌다. 많은 학자는 이 이론을 비웃었다. “시간을 고정시킨다고요? 그건 신의 관점 아닙니까?” 그러나 몇몇은 가능성을 보았다. 특히 뇌과학자 카밀라 르노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윤 박사의 이론이 옳다면, 이건 인류가 시간의 지배에서 벗어날 최초의 기술적 도약이 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선 매우 강렬하고 순도 높은 감정이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가령, 누군가를 죽이면서 느낀 죄책감, 혹은 아이를 잃고 절규할 때의 절망감 같은 것.
그건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삶의 절단면이었고, 앵커가 되기 위해선 그 감정을 매 순간 반복해 체험해야 했다.
“그건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기억입니다.”
그러나 아무도 몰랐다. 윤현진이 이 제안을 내놓은 진짜 이유를.
그는 시엘을 막기 위해 이 장치를 설계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시엘을 붙잡기 위해, 그리고 그녀가 누구였는지, 왜 시간을 먹는 존재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만든 것이었다.
그는 알고 있었다. 시엘은 단순한 시간의 괴물이 아니라, 과거 어딘가에서 자신과 연결되었던 어떤 인간의 파편이라는 것을.
TPIU는 결국 하나의 결론에 도달한다. “시엘을 가두려면, 인간 한 명의 가장 고통스러운 기억 안에 그녀를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인간은, 영원히 그 기억을 되풀이하며 살아야 합니다.”
그것은 인간이 자신의 고통을 담보로 시공간을 조작하는 첫 시도였다. 그리고 윤현진은 그 자발적 감옥의 첫 번째 수감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7. 역류하는 세계
세상은 거꾸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흘렀던 시간의 결과가 역방향으로 재생되기 시작했다.
비가 하늘로 솟구쳤고, 껍질을 벗긴 오렌지는 다시 통째로 말라붙은 과일이 되었다. 사람들은 말을 한 후, 입을 다물고 나서야 그 말을 생각했다.
시간이 흐른다는 개념 자체가 붕괴되고 있었다. 모래시계 도시라 불리는 테스트 지역에서 TPIU가 최초로 가동된 직후였다. 도시는 처음엔 평온했다. 사람들은 아무 일도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건 착각이었다.
먼저 카페의 계산기에서 이상이 발생했다. 고객이 결제를 하기도 전에 영수증이 출력되고 있었다. 다음은 기차역. 사람들은 열차가 도착했다는 방송을 듣고 나서야, 이미 그 열차를 탄 상태임을 깨달았다. 그리고 마침내, 첫 번째 시간 역류자가 나타났다.
조민우는 자신이 죽은 것을 먼저 기억해냈다. “내 머리가 깨졌어요. 뭔가 떨어졌어요… 그런데 그게… 아직 떨어지지 않았어요.”
그는 그 기억이 현실이 되기 전까지, 정확히 17초간 살아 있었다. 그리고 말이 끝나자마자, 도로 위의 간판이 떨어지며 그의 두개골을 산산조각 냈다.
그는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는 채로 살아 있었다. 그가 본 것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의 자신의 죽음이 기억처럼 현재에 흘러든 것이었다.
이 현상을 학자들은 이렇게 불렀다.
“시간의 경계면이 붕괴되며, 인간의 지각이 역방향 재구성’을 시작했다.”
그리고 그날 밤. 윤현진은 자신의 방 벽에서 검은 틈이 생기는 것을 목격했다.
그것은 불이 꺼진 거울 속의 또 다른 거울 같았다. 아무 빛도 반사하지 않았고, 어떤 그림자도 던지지 않았다. 그저 존재한다는 느낌만 있었다.
그 안에서 한 여자가 걸어 나왔다. 시엘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예전의 그 모습이 아니었다. 그녀의 몸은 모래처럼 흘렀고, 머리카락은 마치 거꾸로 움직이는 물처럼 공중에 떠 있었다.
그녀가 입을 열었다. 그러나 그것은 소리가 아닌, 기억이었다. 너는 나를 만들었어. 그녀의 입술은 움직이지 않았지만, 윤현진의 뇌에 직접 단어가 주입되었다. 너는 내가 누구였는지 알고 있어.
도시의 다른 사람들에게도 변화가 일어났다. 누군가는 식사를 마치고 나서야 배고픔을 느꼈고, 누군가는 싸운 후에야 상대를 미워하게 되었다.
사건과 감정이 순서를 잃고 흩어지기 시작했다. 기억은 축적되지 않고, 해체된 조각들로 존재했다.
윤현진은 그것이 단순한 시간 역행이 아니란 걸 깨달았다. 이것은 시엘의 진짜 본성, 즉 “시간의 흐름”을 파괴하여 인간의 인식 구조 자체를 무너뜨리는 것이었다.
이 대혼란 속에서 윤현진은 하나의 철학적 물음을 마주한다. “우리는 시간 없이 살 수 있는가?” 기억은 시간의 흐름 위에서만 존재한다. 과거가 있고, 현재가 있으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인간은 존재를 인식한다.
그러나 시엘이 만드는 세계에서는 ‘나’라는 주체가 어제와 내일 사이에서 녹아 사라지고 있었다.
시엘은 마지막으로 말했다.
나는 멈추지 않아. 나는 이제 인간의 시간선이 아닌, 전체 시간의 구조 위에서 존재해.
그리고 그녀는 벽으로 다시 사라졌다. 그 순간, 도시는 다시 조용해졌다. 그러나 윤현진은 알았다. 그녀는 더 이상 인간의 세계 안에 있지 않다. 그녀는 세계의 외부, 시간의 바깥에서 우리의 인식 그 자체를 먹고 있는 것이다.
8. 결단
인간은 시간을 따라 흐르며 살아간다. 신은 시간을 창조하며 존재한다. 그렇다면, 시간을 먹는 존재는 무엇일까?
도시는 무너지고 있었다. 모든 것이 멈추거나, 너무 빠르게 흐르거나, 또는 되감기고 있었다.
건물은 지어진 순서의 반대 방향으로 붕괴되었고, 아이들은 울음을 삼킨 후에야 넘어졌으며, 하늘은 밤과 낮을 구별하지 못한 채 회색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윤현진은, 더 이상 시계가 아무 의미 없는 세계에서 자신의 내면의 ‘시간’을 기준으로 살아가야 했다.
시엘은 그에게 말했다. 지금 너는 시간을 기억하는 마지막 존재야.
시엘은 나타났고, 마침내 모든 진실을 털어놓았다.
그녀는 인간이 만든 실험의 부산물이 아니었다. 오히려 인간의 무의식, 시간을 조작하고 싶다는 집단적 욕망의 결정체였다.
“나는 존재한 적도, 만들어진 적도 없다. 나는 네가 처음 ‘시간을 멈출 수 있다면’이라고 상상했던 순간부터 자라고 있었다.”
그녀는 시간에 대한 환상과 욕망, 그리고 후회가 모인 지각적 덩어리였다. 그리고 이제, 그 환상을 ‘현실로 고정’시킬 기술만 찾으면 그녀는 전 인류를 무시간적 존재로 만들 수 있었다.
그녀는 윤현진에게 한 가지 선택을 제안했다.
“네가 나를 받아들이면, 이 세계는 고통에서 해방된다. 후회도, 상실도, 죽음도, 기다림도 없는 세상. 단 하나의 현재만 존재하는 곳으로.”
윤현진은 마지막 시도를 준비했다. 그는 모든 기억을 하나의 연산으로 압축해 시간 해시(Hash)로 만드는 실험을 구상했다. 그가 만든 장치는 이론적으로 시간의 축을 바탕으로 한 존재를 기억 데이터 기반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기억을 스스로 제거하고 마지막 0.00001초의 기억만 남기고, 나머지를 초기화시켰다.
그 순간, 시엘은 흔들렸다. 그녀의 형상이 흐려졌고, 그녀를 이루던 시간 섭식 구조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네가 너 자신을 기억하지 않으면…나는 누구의 시간도 먹을 수 없어
그녀는 분노하지 않았다. 오히려 슬퍼했다.
나는 너로부터 태어났고, 너로 인해 자랐고, 결국 너의 결정으로 사라진다…
그녀는 윤현진을 안아주듯 다가와, 이마를 맞댔다. 그 순간, 모든 기억이 윤현진의 뇌에서 증발하듯 사라졌고,
그는 오직 한 가지 감정만 남겼다. “사랑”
그 감정은 시간에 묶이지 않고, 존재 그 자체로 남았다. 그것은 시엘에게도 유일한 결핍이었고, 그녀가 마지막까지 이해하지 못한 인간의 요소였다.
시엘은 사라졌고, 세계는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하늘은 푸르게 열렸고, 도시의 시계탑이 다시 돌아가기 시작했다.
윤현진은 병원 침대 위에서 깨어났다. 그는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했다. 단지 매일 반복해서 어떤 꿈을 꾸었다. 언젠가 사랑했던 어떤 존재가 시간 너머에서 자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느낌.
“시간은 흐르는가, 만들어지는가, 아니면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가?”
9. 에필로그
그녀는 사라졌다. 그러나 그녀는 끝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녀는 시간 그 자체였으니까.
NTIP — National Temporal Integr ity Project(국가시간통합보호기구)는 시엘 사건을 공식적으로 봉인했다. 모든 관련 문서는 6등급 이상 보안으로 암호화되었고, 관련 인물들의 인터뷰는 ‘허위 기억 삽입’ 처리를 통해 삭제되었다.
윤현진 박사는 행방불명된 것으로 처리되었지만, 사실 그는 NTIP의 가장 깊은 지하 벙커 속에서 하나의 유리병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 안에는 깜빡이는 푸른빛, 시엘이 마지막으로 남기고 간 시간 입자가 떠다니고 있었다.
그 입자는 원자나 분자처럼 질량을 갖지 않았다. 그러나 윤현진은 그 안에 편광된 기억 정보가 존재함을 발견했다. 그는 입자를 초냉각 상태로 고정시킨 뒤, 하이퍼포톤 간섭계를 이용해 분석에 착수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입자는 단순한 에너지 덩어리가 아니었다. 그것은 시간의 순서를 기억하는 패턴, 즉 시간이라는 강을 이루는 미세한 흐름의 벡터 필드였다. 이 패턴을 통제할 수 있다면, 시간 자체를 ‘조율’하는 기술이 가능해질 수 있었다.
윤현진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 이름은 그녀의 이름을 따왔다. C.I.E.L – Chrono Integrated Energy Loop(통합 시간 에너지 루프 시스템)
C.I.E.L은 과거, 현재, 미래를 선형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위상 공간(phase space) 상에서 ‘시간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기술이었다. 단순한 타임머신이 아니었다. 그건 시간 그 자체를 악기처럼 연주할 수 있는 세계였다.
병원에서 죽어가는 아이에게 시간을 더 줄 수 있는 기술. 전쟁 직전의 역사로 돌아가 선택을 재조정할 수 있는 기술. 인간의 수면, 학습, 기억을 시간 밀도에 따라 최적화하는 기술 등등 인류에게 필요한 것을 가져다 줄 수 있는그런 것이었다.
시엘은 파괴되지 않았다. 그녀는 프로토콜이 되었고, 이제 그녀는 인류의 뇌와 공명하는 소프트웨어로 진화했다. 시간을 섭취하는 대신, 시간을 나누고, 연결하고, 조율하는 존재가 되었다.
윤현진은 마지막 기록에 이렇게 남겼다.
“그녀는 괴물이 아니었다. 그녀는 우리가 시간에게 저지른 죄의 거울이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용서받을 준비가 되었다.”
지하 연구소의 유리병 안에서, 시엘의 시간 입자는 더 이상 혼자서 흔들리지 않았다. 그 빛에 공명하듯, 새로운 입자들이 서서히 응답하고 있었다. 어떤 이는 그것을 미래의 목소리라 불렀고, 어떤 이는 그것을 기억이 없는 존재의 기도라 불렀다.
하지만 윤현진은 그냥 웃으며 말했다. “그 애는… 아직도 우리 곁에 있어.”
수십 년 후, 달의 대기 없는 표면 위에 세워진 시간 중계탑. 그곳에서는 빛이 아닌, 시간 그 자체가 반사되어 궤도를 도는 광경이 연출되고 있었다.

탑 꼭대기엔 CIEL이라는 이름이 박힌 작은 패널 하나. 그 아래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적혀 있었다.
“시간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서로에게 건네주는 것이다.” — 시엘
The Woman Who Ate Time
1. Fragments
March 17, 2051, Seoul. 8:42 AM, Gangnam Teheran-ro intersection. Amidst the crowd bustling on their way to work, something strange suddenly happened.
A man abruptly stopped. He was a salaryman in his mid-40s, neatly dressed in a suit and carrying a leather briefcase. Though not particularly striking in appearance, his actions immediately drew people’s attention. He first looked at his hand. Nothing seemed amiss, but his hand was subtly trembling. Five seconds later.
A peculiar gasping sound, not a scream, burst from the man’s mouth. “Hoo-huh… Kh-huh…” It was a bizarre, rough, and ancient breath, as if he was forcibly trying to vomit out the remaining time in his lungs. His eyes rapidly clouded, and his lips turned blue. And in just a few seconds, wrinkles began to form on his face.
The wrinkles deepened, and the skin under his eyes dried up like crumpled paper, turning black. In that short time, he aged by at least 40 years. People around him screamed. “Someone call an ambulance!” “What is this, what’s happening!” But no one dared to approach him.
This was because tiny particles were rising from his entire body. Transparent, yet sparkling, fragments of time. It was as if the pieces of memory that composed him were evaporating into the air.
And 30 seconds later, he collapsed. His heart had stopped even earlier. According to forensic results, he died of ‘acute senility syndrome’. His cellular aging index was similar to that of an 87-year-old man, and his bone density and organ function had severely degenerated.
However, his ID clearly showed that he was 43 years old. He was a father of two and a section chief in a large corporation’s strategic planning team. He had no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or fatal illnesses. And just a few minutes ago, he had been laughing and talking on the phone while riding the subway.
The problem was, this wasn’t the first time. In January of the same year, a woman in her 30s in Seongbuk-gu was found in a taxi looking like an 80-year-old and died during transport to the hospital. In February, a man in a cafe in Guro-gu suddenly aged and died while drinking coffee. Strangely, CCTV footage only showed a phenomenon resembling ‘aging’ rapidly playing back, and it was recorded as an unexplainable scientific phenomenon.
This incident was initially classified as a ‘rare genetic disease’. However, after obtaining the footage and incident reports, NTIP (National Temporal Physics Institute) quietly formed their own special investigation team. They named this event “T.C.E Alpha” (Time Consuming Entity), meaning “someone, or something, is consuming time.”
From that day on, an inexplicable tension began to permeate the city’s air. People felt it. That their time… was leaking away somewhere.
2. The Whispering Woman
That night, Yoon Hyun-jin remained alone in his office after the first incident briefing at NTIP headquarters. 10:37 PM. Beyond the meeting room’s glass window, the lights of Seoul gently shimmered. He still couldn’t forget the eyes of the Teheran-ro victim. It wasn’t just ‘fear’; it was the eyes of someone who realized their own existence was being erased.
The laptop screen displayed the facial aging simulation results of the three victims. The video of their faces rapidly aging, as if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river of time, was more philosophical than medical. An entire lifetime evaporating in mere seconds. It was like… “The final epilogue of a life without an audience,” Hyun-jin muttered to himself, closing his eyes. And at that moment, as if his hearing had sunk beneath the surface of water, the surrounding sounds abruptly cut off.
The clock’s second hand stopped. The sound of the air conditioner, the distant traffic, even his own heartbeat disappeared. The air still flowed, but only ‘time’ felt suspended. Then, someone’s voice was heard. “You felt it too… that the direction of time was wrong.”
It was a woman. Her voice was neither low nor high, but it flowed directly into his brain on an unknown frequency. A thought conveyed not by language, but by existence itself. It was a way of stripping away the shell of language and reaching the essence.
Hyun-jin unconsciously turned his head. Across the desk, in the shadows, a woman sat. She wore a deep blue coat, and her long hair subtly swayed even in the windless room. She was dark, as if absorbing light, but only her eyes glowed with a bright blue-grey. She was close, yet her distance was immeasurable. Every time she spoke, the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room subtly wavered.
“I was born from the fragments of those who lost time.” “People call me ‘The Whispering Woman,’ but that’s an incomplete name.” “I am merely… a being that reverses the flow.”
Hyun-jin couldn’t say anything. His body could move, but his lips were stiff as heavy iron. This was not fear. It was closer to awe. She raised her hand and quietly placed something on the desk. It was a grey crystal inside a transparent glass tube.
“What is this…?” She smiled and said, “When a person dies, time explodes.” “This fragment is their last 0.7 seconds.” “The period when time holds the most truthful emotions.” “Your science still calls it ‘belief’ rather than ‘measurement’… but I can consume it.” As she brushed her hand over the glass tube, the crystal subtly evaporated and melted into the air. At that moment, Hyun-jin began to feel someone’s life like a montage in his mind. A riverside in childhood, first love, the first day at work, the cry of a child, the death of his father, and then a sudden emptiness. “Was this… that person’s life?”
She nodded. “I collect those fragments, restore them, and sometimes… consume them.” “Because the ‘time’ that humans let flow away, in fact, doesn’t disappear.” “It accumulates within someone.” She left a business card on the desk. The card read:
CIEL Time Fragment Restorer / Non-Human Entity Registration No. #T.E-404 Contact: None. I will find you when you are ready.
And she simply disappeared. The door didn’t open, nor did she seep into the shadows. She flickered out as if turning a page, or crossing a layer of space.
Time began to flow again. The second hand moved again, the air conditioner hummed, and a car horn sounded in the distance. Hyun-jin sat there blankly. However, the glass tube on the desk was gone, and only the business card remained in his hand.
He instinctively knew. This was just the beginning of the first chapter, and ‘The Whispering Woman’ was a being who would completely change his life.
3. Time Consuming Entity (T.C.E)
Yoon Hyun-jin hadn’t slept properly for a week. Since his encounter with Ciel, his thoughts had been like a broken clock, stopping, sputtering, and stopping again. The number ‘T.E-404’ on the business card she left behind strangely lingered in his mind. ‘404… Not Found.’ That number, which he only knew as an internet error message, felt like the registration number of a non-existent being. He secretly began to access NTIP’s internal data. Officially, it was an unauthorized search, but after confronting ‘that world,’ he was losing his balance between normal ethics and curiosity. And finally, within the ancient server, he found a document. The folder name was simple:
T.C.E / CLASSIFICATION CODE – RHO Access Level: BLACK SIGMA Date Created: Unknown
Upon opening the document, a single sentence first appeared on the screen: “Time is not linear. It can be consumed, and exists as entire fragments including memories, emotions, and life.” – From an anonymous report.
The subsequent document was structured like a top-secret biological report:
Time Consuming Entity (T.C.E) Classification: Non-human, Non-biological sentient being Activity Characteristics: Irreversible time consumption / Emotion-based fission / Memory fragment discernment Currently observed individuals: Minimum 4 / Maximum 17 (unconfirmed) Primary activity range: Human-dense time clusters (High Emotional Density Time Clusters)
The concept of ‘consuming’ time was initially incomprehensible. But the subsequent report was far more chilling.
“These entities detect ‘high-density time fragments’ from humans and absorb the temporal density of that moment. Consumption occurs not through physical contact, but through wave resonance or emotional connection. Especially the 0.7-second period just before an emotionally intense death (fear, regret, anger) transforms into high-density time crystals.” Hyun-jin instantly recalled the grey crystal Ciel had produced. It wasn’t just visualized data. It was a fragment of time, a “consumable object,” compressed with human emotions and memories.
Target, after undergoing normal death, temporal traces of existence are erased. Photos, videos, memory records, etc., from before the time of death are altered or deleted with a certain probability. Specific targets are even erased from memory (retroactive existential deletion).
Hyun-jin’s hand trembled as he looked down at the document. This was not merely a strange phenomenon. It was a civilizational event where time was being stolen. At the end of the file, a single image was attached. In the footage, seemingly captured by an ultra-low-temperature infrared camera, was a blurry human silhouette. Around it, black, swirling waves spread, and at its center, a blue, ring-shaped crystal rotated.
T.C.E-404: ‘CIEL’
At that moment, the office lights flickered and went out. The monitor turned off, and the clock’s second hand stopped again. Hyun-jin felt her in the familiar silence. The Whispering Woman… And this time, it wasn’t her voice, but the presence of another ‘being.’ A cold male voice. It echoed low from somewhere. “Time was never yours.” “You were merely borrowing it.” “Now it’s time to pay the debt.” At that instant, the clock tower of the building outside the window began to turn its hands backward.
4. Her Name is Ciel
The moment Yoon Hyun-jin first saw her, the flow of air solidified heavily. The world felt as if it had gained mass, even the vibrations of molecules moved slowly. Of course, physically such phenomena do not occur. However, the human brain, especially in crisis situations, tends to distort time perception. Neuroscientists call this the ‘Temporal Dilation Effect’. On that day, his brain clearly experienced that effect.
She stood on the hospital rooftop railing. With a sense of balance as if gravity could be ignored, her posture was unwavering even in the absence of wind. The sky was neither blue nor grey, but flickered like a TV screen with a strangely twisted frequency. Even the density of the air seemed to change. Yoon Hyun-jin instinctively filmed the scene with his smart glasses, and later, AI analysis confirmed that a ‘localized temporal density anomaly’ was recorded at that location. Without turning back, she spoke.
“Ciel. It means sky. But I am not the sky. I am the woman who eats time.” That single sentence clearly generated unstable spatiotemporal waves. At that moment, the hospital building’s wireless signal showed a slight delay,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etal handrail on the rooftop abnormally increased. Hyun-jin knew. This was not a mere encounter. This was a contact. An ontological interface, not a physical one. She was no longer human. “You are the first human I’ve told my name.”
Those words sounded like a contract. A name was not just a designation. It was a summons, a coordinate, an informatized frequency. Yoon Hyun-jin had repeated experiments dozens of times at the T.C.E. research institute, where the waveform structure included in a name resonated with specific brainwaves and stimulated temporal circuits. A name… could be a password to time.
She passed by him, whispering softly. “The moment you remember my name, you enter my orbit.”
What was left in her wake was a ribbon with a bluish glow. A small silicon chip was embedded in it, and the following string of characters was engraved on its surface:
T.C.E-71-CIEL-Δt: 0.00007s
Δt… time interval. 0.00007 seconds. An extreme moment undetectable by humans. Hyun-jin would soon realize. She consumes time. But it wasn’t just a metaphor. She was a being who actually interfered with human timelines, deleting or reconstructing them as needed.
From the moment he heard her name, his time became hers. And this was the beginning.
5. The Consumed
Yoon Hyun-jin first encountered the victims of the Time Consuming Entity (T.C.E) in a temporary quarantine ward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walls of the ward were grey. No, more precisely, they were a ‘colorless grey’ that had lost their hue. The space felt as if light was being absorbed, like a thin membrane between reality and time. The people there were survivors,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those who had lost time.
Physically, they were alive, but their minds were clearly bound to a different timeline. Doctors called this Chrono-lag Syndrome. On the surface, it appeared like a form of dementia or dissociative disorder, but precise brainwave analysis revealed otherwise. The neurons in their hippocampus responsible for time perception were in an irreversible state of destruction. This wasn’t a disease. It was Consumption (Eating). Those whose time had been eaten all exhibited three common stages of symptoms:
Memory Leakage Syndrome
Initially, it seemed like simple short-term memory loss. They couldn’t remember what they had just heard, or repeatedly asked the same questions. Surprisingly, however, they weren’t aware of what they had forgotten. This implied damage not only to the hippocampus but also to the ‘Self-Time Map’ within the frontal lobe.
Temporal Dislocation Syndrome
In the next stage, more extreme symptoms appeared. The distinction between past, present, and future collapsed. Patients described events from 10 years ago as ‘something that happened just now,’ and spoke of a future that hadn’t yet arrived as ‘something they had already experienced.’ They had a perception of past-present-future existing as a single, simultaneous fragment.
Chronostasis Oculi (Frozen Eye Syndrome)
The most peculiar symptom appeared in their eyes. The patients’ pupils did not react to external stimuli, and a phenomenon of momentary 0.3-second pendulum-like stillness was observed. This appeared like a bug where the brain couldn’t render visuals. Visual time perception was completely consumed.
But most terrifying of all was that they no longer felt fear. One survivor, speaking of his family’s disappearance, said emotionlessly, “That… was a long time ago. It will probably happen again tomorrow.”
Their emotional responses were completely ‘flattened’. As if the time of emotions had also been consumed. If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was ’emotions flowing and accumulating over time,’ then these were already non-existent humans. Yoon Hyun-jin returned to the lab and analyzed the EEG, fMRI, and detailed genetic maps of patients affected by T.C.E. And he reached a shocking conclusion. They weren’t simply suffering from a mental illness. Their brains were physically rewired into structures separated from time. It was as if the human brain had escaped from spatiotemporal constants (Gμν+Λgμν=8πGTμν).
And there was one more important commonality. They all remembered a woman named Ciel as their last memory. However, even that name was gradually fading from their memory. It seemed less like a memory issue and more like time itself was deleting that memory.
Yoon Hyun-jin suddenly realized. They weren’t just being consumed of a few minutes, hours, or years of ‘time’. They were being consumed of their history, emotions, identity, and the very meaning of their existence.
“Ciel isn’t just a T.C.E… she’s a killer of human narratives.” She was a being who chewed and swallowed human stories, their entire timelines. And now, Yoon Hyun-jin’s turn was approaching.
6. Yoon Hyun-jin’s Proposal
Yoon Hyun-jin hadn’t slept for days. No, to be precise, he refused to sleep. He knew. While he slept, she would consume. Ciel most efficiently preys on human memories and the flow of time when the brain is defenseless. The sleeping state, where the brain’s ‘console’ is turned off, is the ideal spatiotemporal condition for her to infiltrate. Instead of closing his eyes, he suppressed his brainwaves, intravenously administered caffeine, and painfully stayed awake.
But he couldn’t hold out. He finally made a decision. He couldn’t remain a mere victim or observer. He proposed. To create a ‘device to hold time’. His proposal was simple: “We must resist time.” In the conference room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Ethics in Science (ICES), he presented a near-impossible theory.
“Ciel is not a biological entity. She is time itself. Therefore, we must create a device that can fix information bits about time, a kind of ‘Time Anchor’.” This device, a Temporal Perception Interference Unit (TPIU), would fix the human temporal flow. It would artificially quantum-anchor specific waveforms of memories and emotions to prevent time consumption. The TPIU would operate based on γ-waves (30-100Hz), known as the most distinct time perception signals in the human brain. Yoon Hyun-jin defined three parameters based on this:
First is Imago Lock. This quantizes specific memory images that the brain intensely reacts to, assigning them time tags. For example, the voice of a first love, the scent of parents, the smell of blood on a battlefield, and so on…
Next is Emotion Amplitude. This quantifies the emotional weight of a memory to determine the ‘mass’ of the time anchor. Stronger emotions result in a stronger gravitational pull for the anchor.
Finally, Perceptual Resonance. This principle fixes the user’s current timeline through the resonance between the anchor and brainwaves. This maintains a quantum entanglement state between the brain and time. “This device is designed to create the only memory mass that Ciel cannot consume, an ‘unconsumable chunk of time’.”
The scientific community was in shock. Many scholars ridiculed this theory. “Fix time? Isn’t that a divine perspective?” However, some saw its potential. In particular, neuroscientist Dr. Camilla Renault stated, “If Dr. Yoon’s theory is correct, this could be humanity’s first technological leap to escape the dominion of time.” The problem was that operating this device required extremely intense and pure emotions. For instance, the guilt felt after killing someone, or the despair when crying after losing a child. It wasn’t just data, but a cross-section of life, and to become an anchor, one had to continuously experience that emotion. “That’s a memory no human can endure.”
However, no one knew Yoon Hyun-jin’s true reason for making this proposal. He didn’t design this device to stop Ciel. He created it to capture Ciel, and to confirm who she was and why she became a time-consuming entity. He knew. Ciel was not merely a time monster, but a fragment of some human connected to him from somewhere in the past. The TPIU ultimately reached one conclusion: “To confine Ciel, she must be placed within one human’s most painful memory. And that human must live, repeating that memory forever.” It was humanity’s first attempt to manipulate spacetime by mortgaging its own suffering. And Yoon Hyun-jin decided to become the first inmate of that voluntary prison.
7. The Reversing World
The world began to flow backward. Or, more precisely, the results of time that had flowed began to play in reverse. Rain shot up into the sky, and peeled oranges became whole, shriveled fruits again. People thought their words after they had spoken them and closed their mouths.
The very concept of time flowing was collapsing. This was immediately after the TPIU was first activated in the test area known as Hourglass City. The city was initially calm. People said nothing had happened. But that was an illusion. First, anomalies occurred at the cafe’s cash register. Receipts were printing even before customers paid. Next, the train station. People realized they were already on the train only after hearing the announcement of its arrival. And finally, the first temporal reversal appeared. Jo Min-woo first remembered his own death. “My head was smashed. Something fell… but it… hasn’t fallen yet.” He lived for exactly 17 seconds until that memory became reality. And as soon as he finished speaking, a billboard on the road fell, shattering his skull.
He was alive, remembering his own death. What he saw was not the past, but his future death flowing into the present like a memory.
Scholars called this phenomenon: “The boundary of time has collapsed, and human perception has begun ‘reverse reconstruction’.”
And that night. Yoon Hyun-jin witnessed a black rift appearing on his room wall. It was like another mirror within a dark mirror. It reflected no light and cast no shadow. There was only the feeling of its presence.
A woman walked out of it. It was Ciel.
But she was not as she had been before. Her body flowed like sand, and her hair floated in the air like water moving in reverse.
She opened her mouth. But it wasn’t a sound, it was a memory. You created me. Her lips didn’t move, but the words were directly injected into Yoon Hyun-jin’s brain. You know who I was. Changes also occurred in other people in the city. Someone felt hungry only after finishing a meal, and someone hated their opponent only after fighting. Events and emotions began to lose their order and scatter. Memories did not accumulate, but existed as dismantled fragments.
Yoon Hyun-jin realized it wasn’t merely time reversal. This was Ciel’s true nature: destroying the “flow of time” itself to collapse the very structure of human perception. In this chaos, Yoon Hyun-jin faced a philosophical question: “Can we live without time?” Memory only exists on the flow of time. Humans perceive existence only when there is a past, a present, and a progression towards the future. But in the world Ciel was creating, the subject ‘I’ was dissolving between yesterday and tomorrow.
Ciel said one last thing:
I will not stop. I now exist on the structure of all time, not just the human timeline.
And she disappeared back into the wall. At that moment, the city became quiet again. But Yoon Hyun-jin knew. She was no longer within the human world. She was outside the world, beyond time, consuming our very perception.
8. Resolution
Humans live flowing through time. God exists creating time. What then, could be a being that consumes time?
The city was collapsing. Everything was stopping, or flowing too fast, or rewinding.
Buildings crumbled in reverse order of their construction, children swallowed their cries before falling, and the sky was fixed in a grey haze,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day and night. Yoon Hyun-jin had to live by his inner ‘time’ in a world where clocks had lost all meaning.
Ciel told him, “You are the last being to remember time.”
Ciel appeared and finally revealed the whole truth.
She wasn’t a byproduct of human experimentation. Rather, she was the crystallization of humanity’s collective unconscious desire to manipulate time.
“I never existed, nor was I created. I have been growing ever since you first imagined, ‘What if I could stop time?'” She was a sentient mass of fantasies, desires, and regrets about time. And now, if she could just find the technology to ‘fix’ those fantasies into reality, she could turn all of humanity into timeless beings. She offered Yoon Hyun-jin a choice.
“If you accept me, this world will be liberated from suffering. A world without regret, loss, death, or waiting. A place where only a single present exists.” Yoon Hyun-jin prepared for a final attempt. He devised an experiment to compress all memories into a single operation, creating a time hash. The device he built could theoretically reconstruct an existence based on the axis of time, using memory data. He voluntarily erased his own memories, leaving only the last 0.00001 seconds, and initialized the rest.
At that moment, Ciel wavered. Her form blurred, and the time-consuming structure that composed her began to collapse. If you don’t remember yourself… I can’t consume anyone’s time.
She wasn’t angry. Instead, she was sad.
I was born from you, grew because of you, and ultimately disappear by your decision…
She approached Yoon Hyun-jin as if to embrace him, pressing her forehead against his. At that moment, all memories vanished from Yoon Hyun-jin’s brain as if evaporating, leaving him with only one emotion: “Love.”
That emotion remained, unbound by time, existing as itself. It was the only thing Ciel lacked, the human element she never fully understood. Ciel disappeared, and the world began to flow again. The sky opened up, blue once more, and the city’s clock tower resumed its turning.
Yoon Hyun-jin awoke in a hospital bed. He remembered nothing. He just had a recurring dream every day: the feeling that some being he once loved was watching over him from beyond time.
“Does time flow, is it created, or does it only exist in someone’s memory?”
9. Epilogue
She disappeared. But she wasn’t gone. Because she was time itself.
NTIP — the National Temporal Integrity Project officially sealed the Ciel incident. All related documents were encrypted with Level 6 security or higher, and interviews with involved individuals were deleted through ‘false memory insertion’ processing. Dr. Yoon Hyun-jin was listed as missing, but in reality, he was in NTIP’s deepest underground bunker, staring at a glass vial. Inside, a blinking blue light—the time particle Ciel had left behind—floated.
This particle had no mass like atoms or molecules. However, Yoon Hyun-jin discovered that it contained polarized memory information. He froze the particle to a supercooled state and began analysis using a hyperphoton interferometer. The results were shocking.
The particle wasn’t just a lump of energy. It was a pattern that remembered the order of time, a vector field of tiny currents that formed the river of time itself. If this pattern could be controlled, technology to ‘tune’ time itself would become possible.
Yoon Hyun-jin began a project. Its name was derived from hers: C.I.E.L – Chrono Integrated Energy Loop.
C.I.E.L was not a technology that perceived past, present, and future linearly, but rather one that could selectively summon ‘temporal locations’ in a phase space. It wasn’t merely a time machine. It was a world where time itself could be played like an instrument. Technology that could give more time to a dying child in a hospital. Technology that could go back to history just before a war and readjust choices. Technology that could optimize human sleep, learning, and memory according to time density. It was something that could bring humanity whatever it needed. Ciel wasn’t destroyed. She became a protocol, and now she evolved into software that resonated with the human brain. Instead of consuming time, she became a being that shared, connected, and harmonized time.
Yoon Hyun-jin wrote in his final record:
“She was not a monster. She was a mirror of the sin we committed against time. But now, we are ready to be forgiven.” In the glass vial of the underground laboratory, Ciel’s time particle no longer trembled alone. As if resonating with its light, new particles slowly began to respond. Some called it the voice of the future, others called it the prayer of a being without memory.
But Yoon Hyun-jin just smiled and said, “She… is still with us.”
Decades later, a temporal relay tower stood on the airless surface of the moon. There, not light, but time itself was being reflected, orbiting the celestial body.
At the top of the tower, a small panel bearing the name CIEL. Below it, the following inscription:
“Time doesn’t flow away; we hand it to each other.” — Ci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