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슈뢰딩거의 정원
지구에서 약 142광년 떨어진 행성, 타우세티 b.
그곳은 인간이 정착한 외행성 중 가장 오래된 개척지어였다. 푸르고 유기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대지, 투명한 공기, 0.93g의 중력. 그러나 타우세티 b에서 가장 특이한 것은 그곳의 중심에 자리한 아이가 노는 이른바 “슈뢰딩거의 정원”이었다.
이 정원은, 이상하게도 매일 구조가 바뀌었다. 정원사도, 관리자도 없는데 정원의 형태, 색감, 심지어 식물의 종류까지 매일 아침 달라지는 것이었다. 어떤 날은 모든 나무가 붉은색으로 피어 있었고, 어떤 날은 공중에 둥둥 떠 있는 꽃들이 군무를 추듯 흘렀다.
과학자들은 이 현상에 이름을 붙였다. “양자 정원”—관측에 따라 형태가 결정되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그대로 따르는 생태계.
이 정원에서 실험을 진행하던 박사, 리안 브락은 어느 날 정원의 중심에서 놀고 있는 한 아이를 발견한다.
“너, 누구니?”
“난, 리안이 날 상상했기 때문에 여기에 있어.”
“뭐라고?”
아이의 눈은 별처럼 반짝였다.
“이 정원은, 관측된 것만 실재하잖아? 난, 너의 의식에서 나온 결과야.”
리안은 잠시 혼란에 빠졌다. 이 아이는 무엇인가? 허상인가? 진짜 생명체인가? 아니면 이 모든 게 관측자의 착각일 뿐인가?
2. 중첩된 삶
지구의 대양력 연구소에서 훈련을 받고 파견된 과학자들 중, 리안은 양자적 의식 실험의 최고 권위자였다. 그의 이론은 이랬다:
“의식이 있는 존재는 우주에 개입한다. 인간은 단순한 관측자가 아니라, 실재를 결정짓는 열쇠다.”
그래서 그가 타우세티 b로 자원한 것도, ‘양자 정원’의 비밀이 바로 이 이론의 실증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이는 매일 조금씩 달라졌다. 하루는 금발, 다음 날은 흑발. 하루는 조용히 그림을 그리다, 또 다른 날은 철학적 질문을 던지곤 했다. 마치, 수많은 양자 상태 중 하나가 매일 무작위로 collapse 되는 것 같았다.
“너는… 하나의 존재가 아니니?”
“나는 모든 가능성의 총합이야. 너의 의식이 어떤 버전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내가 그 날 정해지는 거야.”
“그렇다면, 네가 진짜란 증거는?”
“그건 너에게 달렸어. 내가 진짜가 되기를 바란다면, 나는 진짜가 돼.”
그날 밤, 리안은 꿈에서 한 가지 실험을 시도한다. 아이를 떠올리지 않기로.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다음 날, 정원은 평범한 초목들로만 가득 차 있었고, 아이는 사라졌다.
3. 얽힘의 메시지
리안은 자신이 우주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고, 지구의 연구소와 얽힘된 쌍둥이 입자를 통해 메시지를 보낸다.
“의식은 우주의 파동 함수를 collapse시킨다. 우리가 관측하면, 우주는 반응한다.”
그러나 지구는 이미 이론을 실험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실패했다.
하지만 그들은 알지 못했다. 타우세티 b는 단순한 외계 행성이 아니라, 양자적 의식 실험을 위해 고안된 시뮬레이션이었다. 우주 그 자체가 인류의 의식을 실험하기 위한 거대한 양자 컴퓨터였던 것이다.
그리고 리안은 그 시뮬레이션의 마지막 변수였다.
4. 우주의 눈
“너는 알고 있었지?” 리안이 정원의 중심에 다시 나타난 아이에게 묻는다.
“응. 너는 마침내 관측을 포기할 수 있는지를 시험받고 있었어. 왜냐하면, 존재를 진정 실현시키는 것은 관측이 아니라… 신뢰니까.”
“무슨 말이야?”
“관측자는 우주의 눈이야. 하지만 눈을 감을 수 있는 용기를 가졌을 때, 비로소 우주는 네 안에서 깨어나.”
아이의 몸이 빛으로 분해되기 시작했다.
“리안, 너는 이제 선택할 수 있어. 이 실험을 끝내고 현실로 돌아갈지, 아니면… 나와 함께 얽힌 존재로 남을지.”
5. 다중 우주 속의 선택
리안은 고개를 숙였다. 그 순간, 그는 수많은 가능성의 리안을 동시에 느꼈다. 정원을 불태우는 리안, 아이를 죽이는 리안, 함께 도망치는 리안, 그냥 무시하고 지구로 돌아가는 리안…
그러나 그는 아무것도 하지 않기로 선택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 그것이 바로 가장 순수한 관측자의 역할이었다.
그는 우주에 개입하지 않았다. 오직 존재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
그 순간, 정원은 모든 색으로 빛났고, 수많은 아이가, 수많은 정원이, 수많은 리안이 동시에 존재하고 동시에 사라졌다.
그리고, 한 줄의 메시지가 정원의 나무에 새겨졌다.
“네가 관측했기 때문에 나는 존재했다. 그리고 네가 믿었기 때문에, 나는 자유로워졌다.”
6. 교훈: 우주는 보는 만큼 존재한다
리안은 지구로 돌아오지 않았다. 그의 생체 신호는 정원의 중심에서 멈췄다. 하지만 연구소는 리안의 메시지를 통해 더 이상 ‘객관적 실재’에만 매달리지 않았다.
그들은 깨달았다.
인간은 단순한 관측자가 아니라, 가능성의 형태를 의식으로 조율하는 존재라는 것.
그리고 ‘슈뢰딩거의 정원’은 인간이 얼마나 우주에 책임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양자 윤리의 실험장이었던 것이다.
《관측자의 아이들》은 우리에게 말한다. 우리가 관측하는 방식이 세상을 만든다. 그리고 그 선택은, 결국 우리 자신을 만든다.
《The Observer’s Children》
1. chrödinger’s Garden
A planet about 142 light years from Earth, Tau Ceti b.
It was the oldest human-inhabited exoplanet. Green, organically alive land, clear air, and a gravity of 0.93 g. But the most unusual thing about Tau Ceti b was the so-called “Schrödinger’s Garden” at its center.
This garden, strangely enough, changed its structure every day. Even though there was no gardener or caretaker, the shape, color, and even the types of plants in the garden changed every morning. Some days, all the trees were in full bloom, while other days, the flowers floated in the air like a dance.
Scientists have given this phenomenon a name: “quantum garden”—an ecosystem that follows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and whose form is determined by observation.
Dr. Ryan Brock, who was conducting experiments in this garden, one day found a child playing in the center of the garden.
“Who are you?”
“I am here because Ryan imagined me.”
“What?”
The child’s eyes sparkled like stars.
“This garden is only real when observed. I am a result of your consciousness.”
Ryan was momentarily confused. What is this child? Is it an illusion? A real life form? Or is this all just an illusion of the observer?
2.Overlapping Life
Among the scientists who were trained and dispatched from the Ocean Power Institute on Earth, Ryan was the foremost authority on quantum consciousness experiments. His theory was:
“Conscious beings intervene in the universe. Humans are not mere observers, but the key to determining reality.”
That is why he volunteered for Tau Ceti b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secret of the ‘quantum garden’ was the proof of this theory.
But the child changed slightly every day. One day he was blond, the next day he was black. One day he would quietly draw, another day he would ask philosophical questions. It was as if one of the many quantum states collapsed randomly every day.
“Aren’t you… one being?”
“I am the sum of all possibilities. I am determined by which version your consciousness chooses for that day.”
“So what is the proof that you are real?”
“That’s up to you. If you want me to be real, I will be real.”
That night, Lian tried an experiment in her dreams. She decided not to think of the child.
The result was shocking. The next day, the garden was filled with only ordinary plants, and the child had disappeared.
3. Message of Entanglement
Lian became convinced that she had an influence on the universe, and sent a message through the twin particles entangled with the Earth’s research lab.
“Consciousness collapses the wave function of the universe. When we observe, the universe responds.”
But Earth had already tested the theory. And failed.
But they didn’t know. Tau Ceti b was not just an exoplanet, it was a simulation designed to experiment with quantum consciousness. The universe itself was a giant quantum computer to experiment with human consciousness.
And Lian was the last variable in that simulation.
4. The Eye of the Universe
“You knew, didn’t you?” Lian asks the child who reappeared in the center of the garden.
“Yes. You were being tested to see if you could finally give up observation. Because what truly realizes existence is not observation, but… trust.”
“What do you mean?”
“The observer is the eye of the universe. But when you have the courage to close your eyes, the universe awakens within you.”
The child’s body began to disintegrate into light.
“Rian, you can now choose. End this experiment and return to reality, or… remain entangled with me.”
5. Choice in the Multiverse
Rian bowed his head. At that moment, he felt countless possibilities of Rian at the same time. Rian burning the garden, Rian killing the child, Rian running away together, Rian ignoring and returning to Earth…
But he chose to do nothing.
Doing nothing, that is the role of the purest observer.
He did not interfere with the universe. He simply accepted existence itself as it was.
At that moment, the garden lit up with all colors, and countless children, countless gardens, countless Rian existed and disappeared at the same time.
And then, a single message was engraved on the tree in the garden.
“I existed because you observed. And because you believed, I became free.”
6. Lesson: The universe exists as much as you see
Rian did not return to Earth. His biosignals stopped at the center of the garden. But the lab was no longer fixated on “objective reality” through Lian’s message.
They realized.
Humans are not mere observers, but beings who manipulate the forms of possibility with consciousness.
And “Schrödinger’s Garden” was a quantum ethics laboratory that showed how humans are responsible for the universe.
The Children of the Observer tells us that the way we observe creates the world. And the choices we make ultimately create our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