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개발한 LK-99라는 물질이 상온 초전도체인지 아닌지를 두고 한 때 세계적으로 논란이 있었다. 결론은 초전도체 성질을 가졌지만 완벽한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와서 해프닝으로 끝났다.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없는 물질로서 전자 산업 뿐만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초전도체의 단점은 극저온 상태에서만 작동한다는 것이다. 극저온을 유지하려면 고도의 기술과 비용이 들어감으로써 제한 된 영역에서만 쓰이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은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중이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 LK-99였는데 상온에서 완벽하게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지 못했다. 만일 완전한 상온 초전도체 였다면 노벨상감 이었는데 매우 아쉽다.
초전도체가 가지는 세 가지 현상
저항의 완전 소멸 (Zero Electrical Resistance)
초전도체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는 전기 전류가 초전도체 내부를 흐를 때 전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항이 0이 되면 전류는 외부에서 전압을 가하지 않아도 영구적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저항 소멸은 초전도체의 응용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초전도체의 이 성질을 활용하여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는 전선이나 고효율 전력 전송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일반적인 전도체에서는 전자가 금속 격자 내에서 이동하면서 원자와 충돌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하지만 초전도 상태에서는 전자가 쌍을 이루어 저항 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전류가 무한히 유지될 수 있다. 이 전자쌍을 쿠퍼쌍(Cooper pairs)이라고 부르며, 쿠퍼쌍이 형성되면서 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조화를 이루어 전류 흐름에 방해가 되는 충돌이 사라진다
마이스너 효과 (Meissner Effect)
초전도체의 두 번째 주요 특징은 마이스너 효과이다. 초전도체가 특정 임계 온도(Tc) 이하로 냉각되면, 내부의 자기장이 완전히 배제되면서 완벽하게 자기장을 밀어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초전도체가 완전한 반자성체(perfect diamagnetism)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체와 완벽한 도체를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도체가 절대온도 0도에 도달하여 전기 저항이 없어지더라도, 그 내부의 자기장은 계속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초전도체는 Tc 이하에서 자기장을 내부에서 완전히 밀어내며, 이로 인해 초전도체 표면에서는 자기장이 축적되지 않다.
마이스너 효과로 인해, 자석을 초전도체 위에 놓으면 자석이 부상하는 현상(자기 부상)이 일어난다. 이 특징은 마그레브 열차와 같은 기술에 응용될 수 있다.
쿠퍼쌍 형성과 위상응집 (Cooper Pair Formation and Phase Coherence)
초전도 상태에서 전자는 쿠퍼쌍이라고 불리는 쌍을 형성하여 움직인다. 쿠퍼쌍은 전자와 금속 격자의 진동(포논)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이 쌍은 상반된 스핀을 가지고 있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통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쿠퍼쌍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바로 초전도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쿠퍼쌍은 특정 온도 이하에서 동기화된 위상응집 상태로 변해야만 비로소 저항 없이 전류를 흘릴 수 있게 된다.
쿠퍼쌍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며 형성되는 상태로, 이 때 두 전자는 서로의 운동과 스핀을 상반되게 맞추어 결합한다. 쿠퍼쌍은 일반적인 전자와 달리 음의 전하를 띠는 것이 아니라, 초전도체 전체적으로 일관된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움직이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 쌍이 만들어진 이후 위상응집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전자들이 저항 없이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상응집은 양자 역학적 파동함수의 동기화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전자들이 마치 하나의 파동처럼 일관되게 움직이게 된다
기존의 초전도체 이론은 Bardeen-Cooper-Schrieffer(BCS) 이론에 기반하여, 초저온에서 전자들이 서로를 밀어내는 힘을 극복하고 쌍을 이루게 된다고 설명한다.
초전도체에 관한 새로운 이론
스탠포드 대학과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 연구진은 최근 구리 산화물 초전도체에서 전자들이 특정한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초전도 상태를 형성하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수십 년간 과학계에서 난제로 여겨졌던, 구리 산화물에서의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허바드 모델과 구리 산화물의 비밀
연구진은 구리 산화물과 같은 고온 초전도체에서의 전자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 허바드 모델(Hubbard Model)을 적용했다. 허바드 모델은 전자 간의 상호작용과 이들이 특정 원자 사이를 이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이다. 그동안 이 모델이 구리 산화물 초전도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이를 검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최신 밀도 행렬 재규격화 군(Density Matrix Renormalization Group, DMRG) 기법을 활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했고, 그 결과 허바드 모델이 구리 산화물의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시뮬레이션은 전자들이 구리와 산소 원자들로 구성된 격자에서 이동하면서 인접한 원자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전자 움직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전자 쌍 형성과 초전도 현상
초전도체가 되기 위해서는 전자가 쌍을 이루고, 이 쌍이 특정한 조화 상태에 있어야 한다. 전통적인 초전도체의 경우, 이 전자 쌍은 쿼크 진동에 의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리 산화물과 같은 비정통적 초전도체에서는 이러한 전자 쌍 형성의 원리가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에서는 구리 산화물 내의 전자가 회전하는 스핀과 같은 양자역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쌍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 구리 산화물에서 두 가지 상이한 상태, 즉 고온 초전도 상태와 전하 밀도 파동(Charge Density Wave) 사이의 미묘한 균형을 관찰했다. 전자가 인접한 원자 사이로만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하 밀도 파동이 강해지고 초전도 상태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자 전하 밀도 파동이 약해지고, 결과적으로 초전도 상태가 생성되었다.
고온에서의 전자 쌍 형성 관찰
이번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초전도 상태가 되기 위해 필수적인 전자 짝 형성이 훨씬 높은 온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구리 산화물이 절연체 상태에서도 전자들이 쌍을 이루는 노멀 스테이트 갭(Normal State Gap)을 관찰했다.
노멀 스테이트 갭(Normal State Gap)의 발견은 이번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 중 하나이다. 이 갭은 전자들이 쿠퍼쌍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에너지 갭으로, 기존의 초전도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것이다.
특히, 연구팀은 이 노멀 스테이트 갭이 특정한 조건 하에서 나타나며, 이 현상이 초전도체가 전이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노멀 스테이트 갭의 발견은 의사갭(pseudogap)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의사갭은 초전도 전이 온도(Tc) 이상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상태로, 이는 물질이 초전도 상태로 전이하기 전에 특정 에너지가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사갭 현상은 초전도체의 전이가 단순한 금속-비금속 전이와는 다르며, 물질이 초전도 상태로 전이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발견을 통해, 의사갭과 노멀 스테이트 갭이 고온 초전도체 구현에 중요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이론적 한계를 넘어선 발견으로, 장기적으로 실온 초전도체 개발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다.
구리 산화물에서 이와 같은 전자 짝 형성이 가능한 이유로는, 이 물질이 특정 조건 하에서 전자의 양자 스핀과 격자 진동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자들이 더욱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이번 연구는 전자 스핀의 변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연구의 의의와 향후 전망
이 연구는 구리 산화물 초전도체가 초전도 상태로 전이될 때, 전자들이 짝을 이루는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특히, 초전도체 내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학적 조작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초전도체의 온도 한계를 극복할 실마리를 제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물질을 설계하고, 실용적인 고온 초전도체 개발에 도전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초전도체의 미스터리를 한층 더 깊이 파헤치며, 에너지 손실 없는 전력 전송과 같은 혁신적 응용 가능성을 열었다.
새로운 발견과 상온 초전도체의 실현 가능성
상온 초전도체의 실현은 전기 에너지 손실 없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전력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이번 연구에서 전자쌍 형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한 것은 이러한 상온 초전도체의 실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고온에서 전자쌍이 형성되지만 무언가가 이들을 응집하지 못하게 막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방법으로 전자쌍을 동기화하여 상온 초전도체를 구현할 수 있을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온 초전도체의 실현 가능성은 전력 전송의 혁신, 발열 없는 전자 장치, 양자 컴퓨팅 등의 여러 분야에서 획기적인 기술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쿨링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상온 초전도체가 구현된다면 이러한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다. 또한, 초전도체는 양자 컴퓨팅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발열 문제 없이 빠르고 정확한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초전도체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전도체가 전이하는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상온에서 저항 없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만약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발전한다면, 우리는 발열 문제 없이 고성능의 전자 장치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양자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초전도체 연구가 어떻게 발전할지, 그리고 이러한 발전이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가 되지 않는가? 이번 연구는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초전도체의 비밀을 밝혀내고, 상온 초전도체로 가는 중요한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2023년, 한국 연구진이 LK-99라는 물질을 상온 초전도체로 발표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여러 연구기관들의 실험과 검증 결과, LK-99가 상온에서 완벽한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 해프닝은 상온 초전도체의 필요성과 개발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보여준 사례로 남게 되었다. 만약 LK-99가 완벽한 상온 초전도체로 검증되었다면, 이는 노벨상에 해당하는 중요한 과학적 업적으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마무리
초전도체 연구는 기초 물리학과 재료 과학의 난제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분야이다. 특히, 상온 초전도체의 개발은 단순한 과학적 호기심을 넘어서, 전력망의 효율성, 전자 산업의 혁신, 양자 컴퓨팅의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온에서 완벽한 초전도체를 구현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스탠포드 대학 연구진의 최근 연구는 이러한 도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한 중요한 발견이었다. 구리 산화물의 전자 쌍 형성과 노멀 스테이트 갭의 발견은, 고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데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물질 설계와 화학적 조작의 가능성을 열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상온 초전도체로 가는 길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에너지 손실 없는 전력 전송 시스템, 발열 없는 전자 장치, 그리고 미래의 고성능 컴퓨터 기술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전자와 물질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더 깊이 이해함으로써, 우리가 초전도체의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날을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발견과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초전도체가 우리 일상 속에 더 깊숙이 자리잡아 미래의 에너지 효율적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https://allsicence.tistory.com